[SQL]Lv3. 이용자의 포인트 조회하기

2025. 1. 20. 15:25·코딩테스트/SQL
데이터 설명
users 테이블은 스파르타 코딩클럽에 가입한 유저들의 정보를 날짜별로 기록한 테이블입니다.

 

user_id: 익명화된 유저들의 아이디(varchar255)

 

created_at: 아이디 생성 날짜(timestamp)
 
updated_at: 정보 업데이트 날짜(timestamp)
 
name: 익명화된 유저들의 이름(varchar255)
 
email: 이메일(varchar255)
point_users 테이블은 스파르타코딩클럽 가입 유저들의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입니다.
 
point_user_id: point_users 테이블의 행을 구별하기 위한 key(varchar255)
 
created_at: 아이디 생성 날짜(timestamp)
 
updated_at: 정보 업데이트 날짜(timestamp)
 
user_id: 익명화된 유저들의 아이디(varchar255)
 
point: 보유하고 있는 포인트(int)

 

 

문제: 다음과 같은 결과 테이블을 만들어보자

user_id: 익명화된 유저들의 아이디
email: 유저들의 이메일
point: 유저가 획득한 포인트
 

 

users 테이블에는 있지만 point_users에는 없는 user는 포인트가 없으므로 0 으로 처리
 
포인트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
 
select u.user_id,u.email ,COALESCE(pu.point,0) as point
from users u left join point_users pu on u.user_id=pu.user_id
order by pu.point desc

 

 

사용 함수

 

coalesce(b.age,20) : b.age 가 만약 null 이라면 20으로 대체

'코딩테스트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Lv5. 가장 많이 팔린 품목은?  (0) 2025.01.23
[SQL]Lv4(2). 가장 높은 월급을 받는 직원은?  (0) 2025.01.21
[SQL]Lv4. 단골 고객님 찾기  (0) 2025.01.20
[SQL]Lv2. 날짜별 획득포인트 조회하기  (0) 2025.01.17
[SQL]Lv1. 데이터 속 김서방 찾기  (0) 2025.01.17
'코딩테스트/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QL]Lv4(2). 가장 높은 월급을 받는 직원은?
  • [SQL]Lv4. 단골 고객님 찾기
  • [SQL]Lv2. 날짜별 획득포인트 조회하기
  • [SQL]Lv1. 데이터 속 김서방 찾기
코딩로봇
코딩로봇
금융 IT 개발자
  • 코딩로봇
    쟈니의 일지
    코딩로봇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1) N
      • JavaScript (8)
      • SQL (10) N
      • 코딩테스트 (29)
        • Java (15)
        • SQL (12)
      • Java (10)
      • 프로젝트 (20)
        • 트러블슈팅 (6)
        • 프로젝트 회고 (12)
      • git,Github (2)
      • TIL (34) N
      • Spring (16) N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java #arraylist #list #배열
    스파르타 코딩 #부트캠프 #첫ot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코딩로봇
[SQL]Lv3. 이용자의 포인트 조회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