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S 란?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DNS가 나오게 된 이유
-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서 IP주소가 필요한데 길어서 외우기 힘들다
- IP주소가 변경된다면 새로운 IP에 접근할 수 없다.
♐ DNS 동작 순서
1.원하는 이름의 도메인을 구매 후, DNS 서버에 등록한다.
2.도메인 명을 입력하면 DNS 서버는 IP 주소를 반환한다.
3.IP가 변경되면 DNS 서버에 등록된 IP주소만 바뀌면 된다.
4. 도메인 형태 https://naver.com/ 로 웹에 접속한다.
✅ URI 란?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인터넷 자원을 나타내는 고유 식별자 이다.
♐ URL 방식의 한계
- 자원의 위치를 변경하면 기존 URL 을 사용할 수 없다.
- 브라우저 검색창에 홈페이지를 검색하면 사이트가 노출된다.
- 주소를 바꾸게되면 기존의 URL로 접속시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
✔ 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URN(Uniform Resource Name) 이 등장하였다.하지만 현대에는 URL 을 사용한다.
♐ URL 의 구조
✔scheme:[//[user[:password]@]host[:port]][/path][?query][#fragment]
scheme: 프로토콜을 사용한다.웹에서는 http,https,ftp를 주로 사용한다.
user[:password]: 사용자 정보
host[:port]: 도메인 명(포트는 일반적으로 생략)
[/path]: 리소스의 경로, 계층 구조
[#fragment]: html 내부 북마크에 활용
♐ URL 동작 순서
1.URL을 입력한다.
2. DNS 서버를 조회하여 URL 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응답받는다.
3. 웹 브라우저에서 HTTP 요청 메세지를 생성한다.( ~~~ 을 검색해줘)
4. 요청 패킷을 서버로 전송한다.
5. 서버에서 HTTP 요청 메세지를 기반으로 응답 HTTP 메세지를 만들어 응답한다.
6. 응답 패킷 도착 (응답 결과가 그려짐)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ontroller 와 RestContoller 의 차이 (0) | 2025.04.10 |
---|---|
[Spring] MVC 패턴 (0) | 2025.04.07 |
[Spring]HTTP 란? (2) (0) | 2025.03.31 |
[Spring]HTTP 란? (1) (0) | 2025.03.20 |
[Spring]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3.19 |